[메이킹] 서빙 로봇 디자인 사례

    안녕하세요

    시제품제작 전문 블로그, 메이킹 (MAKING)입니다

    '메이킹(MAKING)은 (주)한국전자기술의 시제품제작 전문팀명입니다'

    시제품에 대한 정보와 제작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사례는

    제품디자인과 함께 형태와 비율을 알기 위한 3D프린팅 작업으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해당 제품은 추후 내부 설계 수정을 거쳐 CNC가공을 통해 시제품 제작 예정입니다.

    제작순서와 내용
    과정 1 제품디자인 라이노
    과정 2 목업 3D프린팅 (FDM방식)

     


    [제품디자인]

    해당 제품은 서빙 로봇으로 식당에서 손님들께 음식을 서빙(Serving)하는 로봇입니다.

    제품을 디자인하기 전, 컨셉을 설정하여 형태를 구상하게 되는데

    많은 고민 끝에 마인드맵 (아이디어 연상법)을 이용하여 제품의 컨셉을 결정하였습니다.

    마인드 맵을 통해 제품의 컨셉은 바로 비행기 내부에서 사용되는 기내 서빙카트(기내트롤리)인데요.

     

    사진출처) (좌)네이버 포스트 ⓒ트래블뷰, (우) 알리바바 / 제품명)Atlas

     

    기내서비스의 #친절함 #안전한 #깔끔함 등의 이미지와

    협소한 기내환경에서도 이동하기 쉽게 설계된 서빙카트의 구조와 형태, 비율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 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제품 스케치 단계를 거쳐 라이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3D 모델링을 진행하였습니다.

    손잡이의 경우 기내트롤리의 형태와 유사하게 직선의 손잡이로 형태를 잡았고

    서빙 로봇 상단에는 기내 트롤리 처럼 간단한 컵과, 음료를 올릴 수 있게 디자인 하였습니다.

     

     

    로봇의 전체적인 비율은 기내 트롤리와 유사하게 좁고 길게 뻗은 비율로

    식탁과 식탁 사이의 좁은 공간에도 서빙로봇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카트의 전면부에는 대형 패널이 있어 서빙카트의 이동경로, 방향, 서빙 최종 목적지를 안내합니다.

    (해당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UI디자인은 임시로 적용한 이미지입니다)

    카트 사이드로 식판을 꺼내고 넣고 할 수 있는 구조로 기내트롤리와 유사하게 서빙 방식을 구사하였습니다.

     


     

    대략적인 형태와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 일정 배율로 축소하여 3D프린팅을 진행하였습니다.

    빠른시간안에 뽑아보는거라 실제 제품보다 많이 축소했지만

    제품의 비율 형태를 확인하기에는 3D프린팅 만한게 없는 것 같아요:)

    물론 실제크기로 뽑아보는것이 최선이지만 시간적 효율을 위하여 축소해서 출력 진행하였습니다.

     


     

    오늘의 포스팅 잘 보셨나요:)

    오늘의 포스팅 처럼 제품디자인, 3D프린팅, CNC가공 등

    시제품 제작이 필요하면 많은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 메이킹으로 문의주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