썸네일 초기 창업자를 위한 마케팅 단계 5가지 제품개발 프로세스 (#15.마케팅 편) ​ ​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요구 뿐만 아니라 욕구를 파악해야 하는데요! ​ 이러한 요소를 반영하여 진행되는 것이 마케팅 입니다. ​ 제품을 고생해서 개발하고 출시하였지만 마케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품을 성공적으로 판매할 수 없습니다. ​ 오늘은 마케팅​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서 마케팅의 역할은 총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개념화 2. 디자인 및 개발 3.테스트 4. 출시 5. 출시 후 관리 ​ 1. 개념화 단계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제품을 기획하고 컨셉을 도출하는 초기 단계에서도 마케팅의 역할이 꼭 필요한데요! ​ 제품의 잠재 시장과 예상 고객을 파악하여 고객의 요구와 욕구, 시장 동향, ..
썸네일 [메이킹] 패키지 디자인 전 준비해야 할 3가지 제품개발 프로세스 (#14.패키지 디자인 편) ​ ​ 소비자들은 물건을 구매할 때 제품보다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것은 패키지 입니다. ​ 패키지 디자인은 여러가지 디자인 요소들이 조합되어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특성이나 디자인이 잘 느껴지도록 해야하는 것이 특징인데요! ​ ​ 오늘은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 ​ 패키지 디자인 전 준비해야할 3가지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1. CI, BI 디자인 2. 패키지 재질 3.그래픽 디자인(패턴, 색상, 문구 등) ​ ​ 1. CI, BI 선정 로고는 제품이나 기업 및 기관등의 조직에 적용되는 시각디자인 입니다. ​ ​ CI는 기업의 정체성을 나타내며, BI는 기업의 산하에 있는 브랜드 정체성을 나타냅니다. ​​ ​ ​ ​ 2...
썸네일 제품 사출 시, 확인해야하는 4단계: 사출과 조립 제품개발 프로세스 (#13.사출 및 조립 편) ​ ​ 제품 양산시 플라스틱 사출기를 통해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합니다. 사출시 주의해야할 사항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저희 메이킹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 ​ 사출시 주의해야할 사항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1차 확인: 제품 불량 체크하기 사출시, 제품 불량은어떤 것을 중점적 체크해야할까요? 1.스크래치 불량 2. 가스불량 3. 미성형불량 4.수축불량 이는 작업자가 선별해야하는 과정입니다. ​ ​ ​ 2차 확인: 품질검사 2차에는 품질검사로 치수나 중량 같은 정밀검사를 진행합니다. ​ 치수검사는 제품 조립시 사이즈의 문제로 조립이 안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진행을 하게됩니다. ​ 중량은 제품 단가와 치수에 영향을 끼치게 될 뿐만아니라 원재료 ..
썸네일 SLA 레진 카트리지, 탱크 교체하는 법 (색상 변경) 시제품 제작에 대한 모든 것 (#15.레진 교체 편) ​ ​ SLA 레진 및 카트리지는 주로 언제 교체를 하게 될까요? ​ 용량이 없어서 새롭게 교체를 해야하는 경우도 있지만 색상 변경을 위해서도 교체를 해줘야합니다. ​ 메이킹에서 사용하고 있는 Formlabs SLA 장비는 레진을 교체할 때 탱크도 같이 교체해줘야하므로 2가지 제품 모두 구비해야하는 특징이 있는데요! ​ 오늘은 SLA 카트리지와 레진탱크 교체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 ​ ​ ​ 투명색 -> 흰색 변경​ ​ ​ SLA 장비를 열어 레진탱크를 꺼내줍니다. ​ (양쪽 턱을 잡아 레진이 흐르지 않도록 조심해서 잘 꺼내주셔야합니다) ​ ​ ​ 바꾸고 싶은 색상의 레진 탱크를 개봉하여 준비해줍니다. ​ ​ 흰색 레진탱..
썸네일 제품의 퀄리티를 결정하는 레이저마킹 시제품 제작에 대한 모든 것 (#14.레이저마킹 편) ​ ​ 레이저마킹기는 반영구적 인쇄가 가능한 장비인데요! 다양한 소재에 마킹을 함으로써 단순 인쇄와는 다른 느낌을 주는 방법입니다. ​ ​ 오늘은 레이저마킹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 레이저마킹이란?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레이저 마킹이란? : 레이저광선을 사용하여 제품 표면에 마킹 또는 표식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 레이저 마킹의 특징? 1.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소재에 활용가능 2. 색상을 변화시켜 마킹 가능 (흰색, 검정색) 3. 지속성이 높음 (반영구적) 4. 공정시간 단축 (전처리 없이 마킹 가능) 5. 소모품(잉크)이 필요없음 (경제적) 6. 인쇄속도가 빠름 7. 고품질 출력 (비접촉식 마킹) ​ ​ ​* 레이저 ..
썸네일 시제품 후가공 도장의 장단점 총 정리 시제품 제작에 대한 모든 것 (#13.후가공 도장 편) ​ ​ 제품의 마감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표면 질감을 가공하여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 각인 디자인으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높히는 목적,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 ​ 오늘은 후가공 도장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 도장 (Painting)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도장이란? : 원재료에 도료를 입히는 방식 부식을 방지하고 모양을 개선하기 위한 마감방식 중 하나 액체도장 :액체 형태의 페인트를 붓, 롤러, 에어브러시, 에어건 등을 활용하여 도장면을 경화시키는 도장 방법 ​ 장점 -원하는 장소에서 작업 가능 -원하는 위치에 정밀하게 도장 가능 -특수도료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도막을 형..
썸네일 감정을 표현하는 그림문자 이모지 누구나 한번쯤 사용해보셨을 것 같은데요! 스마트폰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는 그림 아이콘을 이모지(Emoji)라고 합니다 ​ ​ 흔히 말하는 이모티콘과는 다른 뜻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오늘은 이모지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 이모지란?(Emoji)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絵(え)+文字(もじ) 그림 + 문자 =그림문자 이모지라는 단어는 원래 영어가 아닌거 알고 계셨나요? ​ 이모지는 일본어로 그림문자를 뜻합니다. 정확한 발음으로 하면 이모지가 아닌 에모지라고 합니다 ​ https://m.blog.naver.com/poupille/221333032078 ​ 한마디로 정의하면 이모지란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유니코드의 체계로 만든 그림문자" ​ 이모지는 텍스트보다는 ..
썸네일 취향대로 조합하는 모듈러 디자인 소비자를 사로잡는 디자인 (#20.모듈러 디자인 편) 모듈러 디자인은 사용자 및 고객이 원하는대로 맞춤형 제품생산이 가능합니다. ​ 주위에서 모듈러 디자인이 된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모듈러 디자인​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모듈러 디자인(Modular Design)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모듈러 디자인이란? ​ : 다양한 조합을 통해 제품의 다양화를 시킬 수 있는 방식 ​ ​ 모듈러 디자인의 대표적인 예시는 삼성의 비스포크 냉장고입니다. ​ 비스포크 냉장고는 라이프스타일이나, 식습관, 가족인원 등에 따라 구성을 조합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인데요! ​ 디자인, 색상, 질감 뿐만 아니라 사이즈 및 용량까지 원하는대로 조합하여 맞춤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
썸네일 디자인 방향을 잡기 위한 레퍼런스 참고 사이트 추천 3가지 소비자를 사로잡는 디자인 (#19.레퍼런스 편) ​ ​ 디자인 방향 및 컨셉을 잡기 위해서는 사전 조사가 필요합니다. ​ 디자인 레퍼런스를 어디에서 찾으시나요? ​ 구글이나 네이버도 물론 좋지만 디자이너들이 작업한 고퀄리티 이미지와 나만 알고싶은 디자이너 추천 사이트를 메이킹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 레퍼런스 과정이 필요한 이유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 제품 기획이나 디자인 단계에서 자신만의 틀에 갖혀 아이디어 발상의 진도가 더디게 나갈 때, 레퍼런스를 참고하면 도움이 됩니다. ​ 다른사람이 한 작업물을 보며, 참고할 부분은 체크하고 좀 더 나은 방향성을 생각하게 되면 더 나은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게 됩니다. ​ 또한 디자인을 의뢰주신 분들과 의견을 나눌 때, 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
썸네일 초기 창업자를 위한 금형 제작 기초상식! 제품개발 프로세스 (#12.금형 제작 편) ​ ​ 제품 양산을 하기 위해서는 금형을 제작해야합니다. ​ 하지만 금형을 제작할 때, 비용뿐만 아니라 수정이 어렵기 때문에 금형을 제작하기 전 유의사항을 잘 알아두시고 현명하게 금형제작을 하셔야합니다. ​ ​ 오늘은 금형제작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 금형 설계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금형 설계 : 사출변형이나 성형속도, 취출이 용이한 구조설계를 고려하여 설계 ​ ​ 재료의 성질과 생산성을 고려하여 크랙(crack)이나 치수 변형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계입니다. ​ 금형 설계를 단순화하면 성형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금형 설계 단계는 생산성, 비용, 품질 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 ​ ​ 금형 ..
썸네일 [메이킹] 제품 개발 단계에서 필요한 사업 타당성 검토 안녕하세요 디자인&시제품 제작 전문, 메이킹(MAKING)입니다 ​ '메이킹(MAKING)'은 (주)한국전자기술의 시제품 제작 전문팀명입니다' 시제품에 대한 정보와 제작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제품개발 프로세스 (#11.사업 타당성 편) ​ 상품을 출시하기전 상품화가 될지, 검토하는 과정은 꼭 필요한데요! ​ 그 이유는 사업 타당성 검토를 거쳐 긴 개발기간과 고비용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한 과정을 거쳐 상품을 검토해야합니다. ​ 오늘은 사업 타당성 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사업 타당성(Fesaibility Analysis) *사업 타당성이란? ​ : 비즈니스를 시작하기 전, 사업에 대한 실패나 성공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전에 진행하는 과정 > 사업 추진 전반에 생기는..
썸네일 [메이킹] 제품 개발 전, 테스트 및 평가하는 법 제품개발 프로세스 (#10.테스트 및 평가 편) ​ 제품 개발을 하기 전, 테스트와 평가는 필수적으로 이행되어야하는데요! 수많은 테스트와 평가를 거쳐 최종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게됩니다 ​ 오늘은 제품 개발 전, 테스트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1. 시제품 제작: 제품 기능 테스트를 위한 꼭 필요한 과정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 시제품 제작은 크기와 소재, 생산 수량, 용도와 목적 등에 따라 제조 방식을 선정하게되는데요! 시제품을 제작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중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cnc가공과 3d프린터입니다. ​ cnc가공은 절삭가공 방식으로 표면 조도가 우수하고 다품종 소량생산에 용이합니다. 3d프린터는 적층가공 방식으로 표면 조도는 낮지만 저렴한 비용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