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제품 제작에 대한 모든 것
(#11.제작 종류편)
시제품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시제품의 용도는 외관 디자인 뿐만 아니라
실제 제품으로 생산되기 전 기능과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단계입니다.
오늘은 시제품 제작 중
제작 종류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업(Mockup)과 프로토타입(Prototype)의 차이점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목업(Mockup)
실물 크기의 모형
: 목업은 실제 제품을 만들어 보기 전, 디자인 검토를 위해
실제 크기와 같게 제작하는 작업 프로세스나 결과물을 뜻합니다.
과거 목업은 나무나 찰흙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석고나 주물 등의 작업을 거쳐 작업을 하였으나
오늘날 목업은 3D프린터로 출력되고 있습니다.
프로토타입(Prototype)
시제품, 견본
: 목업보다 완성도가 높으며, 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고무, 실리콘, 알루미늄, 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양산 제품의 8-90% 완성된 것
시제품은 3D프린터보다 정밀도가 높은 CNC나 MCT 장비를 사용하여 가공하며,
제품의 기능 및 성능 검사를 위한 목적으로 시행착오를 방지하는 과정으로 제작이 됩니다.
목업의 종류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1. 소프트 목업
소프트 목업은 크기나 구조적인 부분을 볼 수 있도록 하여 형태적인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서 진행됩니다.
주로 가격이 저렴한 FDM 3D프린터를 사용합니다.
2. 디자인 목업
CMF를 고려하여 외부로 보여지는 디자인적 부분을 최대한 살려 표현합니다.
컬러 도색, 재질, 후가공 뿐만 아니라 제품 외부에 인쇄되는 부분까지 고려하여 진행하는 단계입니다.
3. 프로토타입 목업 (=워킹목업)
해당 단계에서는 실제 양산 제품과 유사하게 만들어 볼 수 있는 단계이며, 각종 인증과 요구되는 시료의 개수를 제작하여
필요한 인증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인증을 바탕으로 영업과 마케팅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시제품 제작 꼭 해아하는 이유!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시제품은 제품 출시 전 다양한 테스트와 검토를 바탕으로 최적의 조건의 양산화 목적으로 제작됩니다.
하지만 시제품은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며, 단품으로 제작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비용은 개별로 따졌을 때, 대량생산보다는 단가가 높지만, 반드시 검증을 해야하는 필수 단계입니다.
시제품 제작 후 검증과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하지 않는다면, 시제품 제작 비용보다 더 많은 돈과 시간을 들여서
다시 재개발해야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제품 출력의뢰는 메이킹(MAKING)
메이킹은
캡스톤디자인, 예비창업자, 초기 창업자 등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을 설계, 디자인, 시제품 제작까지
원스톱으로 도와드리는 원스톱개발업체입니다.
오늘은 시제품 제작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시제품 제작 전문 ‘메이킹(MAKING)’은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제품 제작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해드리고 있습니다😃
시제품 제작 문의는 아래 유선 번호로 편하게 연락주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이킹] 제품 개발 전, 테스트 및 평가하는 법 (0) | 2024.01.19 |
---|---|
[메이킹] 금속 3d프린팅의 방식과 활용방안 (0) | 2024.01.18 |
[메이킹] 판금 가공 - 절곡(벤딩)이란? (0) | 2024.01.12 |
[메이킹] 브랜드 굿즈가 필요한 이유! (2) | 2023.12.29 |
[메이킹] 디자이너가 보는 톤앤매너의 중요성 (0) | 2023.1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