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킹] 제품 개발 전, 테스트 및 평가하는 법

    제품개발 프로세스

    (#10.테스트 및 평가 편)

     

    제품 개발을 하기 전,

    테스트와 평가는 필수적으로 이행되어야하는데요!

    수많은 테스트와 평가를 거쳐

    최종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게됩니다

    오늘은

    제품 개발 전, 테스트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시제품 제작: 제품 기능 테스트를 위한 꼭 필요한 과정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시제품 제작은 크기와 소재, 생산 수량, 용도와 목적 등에 따라

    제조 방식을 선정하게되는데요!

    시제품을 제작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중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cnc가공과 3d프린터입니다.

    cnc가공은 절삭가공 방식으로 표면 조도가 우수하고 다품종 소량생산에 용이합니다.

    3d프린터는 적층가공 방식으로 표면 조도는 낮지만 저렴한 비용으로 초기 테스트때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초기 테스트 단계 ->3d프린터

    최종 프로토타입 단계 (혹은 발표를 위한 퀄리티 높은 결과물) -> cnc가공

    2. 기능 테스트: 생산을 위한 검증용 단계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기능적 결함이나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제조 단계입니다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사전에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능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이 단계에서 제품 인증을 진행할 수 있으며

    설계 수정이 세부적으로 들어가는 단계입니다.

     

    3. 세부수정: 기능 테스트에서 생긴 문제점 수정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시제품 제작 시, 생기는 오차 범위에 대한 문제점을 세부 설계 수정 후 재가공하는 단계입니다.

    시제품을 제작 시, 장비에 따라 약간의 오차범위가 발생하여

    생각했던 정치수에 딱 맞기는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시제품 제작 경험이 많은 전문가에게 의뢰를 하셔야하는데,

    저희 메이킹은 다년간 다양한 시제품 제작을 경험하며 오차범위를 생각하여

    제품을 가공하고 있습니다.

    4. 시제품 평가: 출시 전 고려되어야할 다양한 항목 평가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시제품을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 제품 품평회는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받아

    제품 출시 전 예비사용자들의

    생각과 의견을 취합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설문지 유형: 평가기준을 선정하여 5지 선답으로 평가하는 방식

    인터뷰 유형: 시간은 오래 소요되지만, 다양하고 창의적인 답변이 나올 수 있음


     

    시제품 출력의뢰는 메이킹(MAKING)

    오늘은 제품 개발 전 테스트 및 평가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희 시제품 제작 전문 ‘메이킹(MAKING)’은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제품 제작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해드리고 있습니다😃

    시제품 제작 문의는 아래 네이버 톡톡이나 유선으로 편하게 연락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