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킹] 퀄리티를 높이는 3D프린터 후가공 방법 (제거하기 편)

    퀄리티를 높이는 3D프린터 후가공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3D프린터 후가공은 출력물의 표면 특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작업입니다.

    후가공은 처리기술 중 필수적 요소 인 '제거하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후가공에서 말하는 '제거하기'란?

    가장 일반적인 후가공의 범주로써

    출력물에서 서포터나 표면의 필요없는 부위를 '제거'하는 작업을 뜻합니다.


     

     

    1. 서포터 제거 (지지대 제거)

    서포터(지지대) 제거는 3D프린터 후가공 중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작업이며 간단한 작업물일 경우 이 단계에서 마무리합니다.

    FDM, SLA 방식의 3D프린터는 출력 방식의 특성상 서포터(지지대)가 함께 출력되며, 일반적으로 손으로 떼어내거나, 펜치로 절단하여 서포터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슬라이스에서 노즐 압출량이 과다했을 경우, 지나치게 높은 밀도로 출력되도록 설정했을 경우 서포터가 쉽게 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밀도 값과 서포터 타입 변경 등 슬라이스 설정값을 조금씩 조정하여 서포터를 쉽게 제거할 수있습니다. 이 단계는 힘을 가하는 작업이다보니 지지대에 베이거나 긁힐 수도 있어 안전 장갑을 꼭 사용하여 유의해야합니다.

    2. 사포질 (샌딩)

    서포터를 제거 한 후 표면이 거친 부분이나 얼룩이 있는 경우 사포질을 통해 표면을 곱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표면이 매끄러워야 도색 시, 얼룩 없이 색이 잘 올라갈 뿐만 아니라 실제 제품 같이 느껴지게 됩니다.

    이때 주의해야할 점은 샌딩시 사용되는 사포는 낮은 단위(150-400방)에서 점차적으로 높은 단위(최대 2,000방)의 사포로 

    단계적인 작업해주셔야합니다.

    3. 스무딩

    스무딩은 ABS 출력물에 사용되는 후가공 작업입니다.

    ABS를 녹일 수 있는 아세톤의 성질을 이용하여 ABS표면에 있는 레이어를 부드럽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아세톤은 가연성이 높은 특징 때문에 폭발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기가 잘되는 공간에서 작업을 해야하며 

    더불어 장갑과 마스크를 착용하여 안전한 작업이 되도록 주의를 요해야합니다.

    4. CNC 밀링

    3D프린터와 정반대의 원리로 작동하는 CNC 밀링은 적층방식과 달리 절삭가공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밀링은 시간이나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지만 작업물의 결과가 정확하고 매끄럽게 다듬어야할 경우 사용됩니다. 

     


     

    시제품 제작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메이킹으로 문의주세요!

    CNC가공 / 3D프린팅 / 레이저가공 등 시제품 제작 문의는 메이킹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