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킹] 디자인 씽킹이란?

    안녕하세요

    시제품 제작 전문, 메이킹(MAKING)입니다

    '메이킹(MAKING)'은 (주)한국전자기술의 시제품제작 전문팀명입니다'

    시제품에 대한 정보와 제작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소비자를 사로잡는 디자인

    (디자인 씽킹 편)

    디자인 씽킹이란 무엇일까요?

    제품의 외형 디자인에만 적용되던 디자인의 영역이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모든 것'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즉 제품 개발 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획부터 마케팅,

    관련 서비스 등 모든 과정을 디자이너들이 개입하고 있는데요.

    이를 디자인적 사고, 디자인 씽킹이라고 불립니다.

    저희 메이킹(Making)에서 드리는 디자인 팁!

    이번 편에서는 디자인 씽킹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디자인 씽킹 (Design Thinking)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 (MAKING)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

    (Double Diamond Model)

    분산과 수렴 4가지 단계

    " 정의 - 해석 - 아이디어 - 해결 "

    디자인 씽킹이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시면 가장 많이 나오는 이미지 입니다

    해당이미지는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로써

    확산과 수렴을 2번 반복하여 도형상으로 2개의 다이아몬드가 연속된다는 뜻에서

    디자인 씽킹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Double Diamond Model)이라고 불립니다.

    쉽게 말해 생각을 넓게 뻗어나가고

    넓게 퍼진 내용을 정리하며 좁히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생각을 펼치고 정리를 하다보면 결과적으로 좋은 솔루션이 나올 수 있습니다.

     

     

    팀 브라운의 디자인 씽킹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User Interface Design)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뽑히는 디자인 회사 IDEO의 창업자 팀 브라운은

    2008년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최초로 제안했습니다.

    프로세스와 결과물의 중심은 바로 인간, 즉 사용자에게 있다고 주장했는데요


    영감(Inspiration)

    : 관찰, 공감, 협력하여 영감을 얻는다.

    아이디어화(Ideation)

    : 통합적 사고 및 분산과 수렴 과정을 통해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얻는다.

    구현(Implementation)

    :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테스트하고, 실패하면 개선하는 일을 반복한다.


     

     

     

    IDEO 디자인 씽킹은 '사용자 경험'을 중시합니다.

    디자인 씽킹 과정에서 사용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관찰과 인터뷰, 경험 (ex. 설문조사, 아이 트래킹, 페르소나, 고객여정맵)등을 통해 사용자를 이해하고 니즈를 찾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아이디어 도출 후,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사용자들에게 높은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솔루션을 낼 수 있는 동시에

    기존 아이디어를 탈피하고 새롭고 창의적인 혁신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시제품 출력의뢰는 메이킹(MAKING)

    오늘은 소비자를 사로잡는 디자인,디자인 씽킹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희 시제품 제작 전문 ‘메이킹(MAKING)’은 제품 개발 전 기획부터 시제품까지의 단계들을 고려하여

    제품 제작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해드리고 있습니다😃

    시제품 제작 문의는 아래 유선번호로 편하게 연락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