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킹] RGB, CMYK 차이점 총정리!

    안녕하세요

    시제품 제작 전문, 메이킹(MAKING)입니다

    '메이킹(MAKING)'은 (주)한국전자기술의 시제품제작 전문팀명입니다'

    시제품에 대한 정보와 제작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소비자를 사로잡는 디자인
    (#10. RGB, CMYK편)

    디자인을 하려면 색상을 꼭 사용하게 되는데요!

    디자인 작업에서는 색상의 분류를 크게 RGB, CMYK로 나뉘게 됩니다.

    오늘은 두가지 색상모드

    RGB, CMYK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RGB와 CMYK의 차이점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RGB=디지털 색상모드

    CMYK=프린터 색상모드

    RGB
    CMYK
    구성색상
    RGB (Red, Green, Blue)
    CMYK (Cyan, Magenta, Yellow, Black)
    색상원리
    빛의 3원색(적색, 녹색, 청색)을 섞어 만듬
    4색(청록, 마젠타, 노랑, 검정)을 섞어만듬
    자주 쓰이는 프로그램
    Photoshop, Illustrator 등
    In Design, Photoshop 등
    색상 조정법
    휘도와 채도 위주의 조절
    명도, 채도, 밀도 조절
    장점
    • 색상범위가 넓고 선명함
    • 웹, 모바일에 적합함
    • 간단하고 빠르게 사용가능
    • 인쇄물에서 색상의 일치성 보장
    • 다양한 인쇄물에 적합함(ex. 카탈로그)
    • 이미지나 그래픽 디자인에 적합함(ex. 포스터)
    단점
    • 색상 불일치 문제
    • 프린트 산출물에 부적합함
    • CMYK 색상 모델로 변환시 색상 어두워짐 문제
    • 색상값이 명도, 채도, 밀도로 조절되므로
      이해하기 어려움

    디자인 작업에서 RGB와 CMYK 모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두 모드의 차이점과 단점을 파악하여

    목표하는 결과물에 맞게 작업해야합니다

    RGB와 CMYK를 모두 파악을 하셨을 때, 디자인 작업에서 우수한 결과물이 나온답니다!

    CMYK 인쇄시 색이 어둡고 탁해지는 이유?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CMYK는 색을 섞어서 만드는 컬러!

    예로 물감을 사용할 때, 색은 섞일 수록 검은색으로 가까워지고 어두워집니다.

    따라서 구현할 수 있는 색상의 범위가 줄어들고 탁해지며 어둡다는 느낌을 받게됩니다.

    CMYK 4가지 컬러 값을 4도 컬러라고 하는데요!

    C / M / Y / K 색상이 모두 들어가는 경우: 4도 컬러 인쇄

    색상이 많이 들어가면 갈 수록 탁해지고 왜곡되어 인쇄될 확률이 높습니다.

    출처: 레오119 블로그

    인쇄 시 1도 혹은 2-3도로 맞추는 것을 추천하는 이유는

    인쇄시 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해서 입니다!

    색이 많이 섞이면 선명한 색상이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제품 출력의뢰는 메이킹(MAKING)

     

     

    오늘은 RGB, CMYK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희 시제품 제작 전문 ‘메이킹(MAKING)’은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제품 제작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해드리고 있습니다😃

    시제품 제작 문의는 아래 유선번호(1544-1915)으로 편하게 연락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