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킹] 정량조사, 정성조사의 차이점 (사용자 조사의 중요성과 방법)

    안녕하세요

    시제품제작 전문, 메이킹(MAKING)입니다

    '메이킹(MAKING)'은 (주)한국전자기술의 시제품제작 전문팀명입니다'

    시제품에 대한 정보와 제작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제품개발 프로세스

    (#3.사용자 조사 편)

    사용자조사는 사용자 경험이 위주가 되는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사용자 조사를 해야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싶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용자 조사를 통해 얻은 정보는 훨씬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제품 개발에 꼭 필요한 단계,

    사용자 조사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용자 조사 왜 필요할까요?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사용자 조사가 필요한 이유?!

    미국 벤처캐피털 전문 조사 기관인 CB 인사이트가 미국 101개 스타트업의 실패 원인을 분석한 결과

    '시장이 원하지 않는 서비스'를 만들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타트업이 실패하는 20가지 이유

     

    이는 시장에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지 못하고 개인의 직관에 의지했기 때문입니다.

    점점 세분화되고 까다로워지는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사용자 중심적인 마케팅과 제품/서비스 전략을 수립하는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는데요!

    사용자 조사는 단순히 개인의 주관이나 직관에 의존하지 않고,

    객관적인 시점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뿐만아니라 가속화되는 경쟁환경에서 신제품 실패시,

    마케팅과 R&D같은 마케팅 서비스 비용의 증가로 인해 기업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실패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용자 조사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진행해야합니다.

     

     

     

     

    정량조사, 정성조사 차이점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정성적 조사
    정량적 조사
    목적
    기초적인 원인이나 동기에 대한 질적인 이해를 얻음
    자료를 계량화하고 표본으로 부터 모집단의 결과를
    일반화 시킴
    표본
    대표성 있는 소규모 사례
    대표성 있는 대규모 사례
    자료 수집
    비구조화
    구조화
    자료분석
    비통계적
    통계적
    주요방법
    • 게릴라 테스트
    • 인터뷰
    • 포커스 그룹
    • 현장 조사
    • 연구실 조사
    • 카드 분류 테스트
    • 설문조사(개별면접조사, 인터넷 조사)
    • 사용자 서베이
    • 퍼스트 클릭 테스트
    • 아이트래킹
    • 적외선 열지도
    • 웹사이트 애널리틱스
    • A/B 테스트
    결과
    초기 이해의 전개
    행동의 최종단계 권고

     

     

     

    정성적 조사 방법

    1. 게릴라 테스트(Guerrilla testing)
    : 빠르고 비용이 적게 드는 테스트 방법
    현장에 나가 사람들을 관찰하고 비디오 촬영하며 유용성 테스트를 위해 리뷰를 하는 간단하고
    빠르게 실행해볼 수 있는 방법

    2. 인터뷰(Interviews)
    : 미리 질문지를 만들어서 1:1 인터뷰를 진행하는 방법
    사용자가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음

    3. 포커스 그룹 인터뷰 (Focus groups interview)
    : 특정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모으기 위해 선별된 그룹을 인터뷰
    그룹의 고객들은 의견 교환 등 활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사람들을 선별해야함

    4. 현장 조사(Field Studies)
    : 직접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하는 환경에 가서 사진이나 비디오를 찍고, 간단한 노트 및 스케치를 하는 방식

    5. 연구실 조사(In-Lab testing)
    : 제어된 환경 아래에서 사용자들에게 특정한 업무를 주고, 이를 수행하는 것을 관찰하는 방법
    그들의 생각이나 느낌을 소리를 내어 행동을 묘사하도록 요청 받으며, 조사자들은 대상 사용자들의 대답을 녹음하거나 촬영하여 분석에 활용함

    6. 카드 분류 테스트(Card Sorting Test)
    :정보 구조(Information Architecture)를 세우고 각각의 분류 그룹에 이름을 짓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
    많은 양의 콘텐츠를 분류하고 구조화 할 때 유용

    정량적 조사 방법

    1. 사용자 서베이(User Surveys)
    : 특정한 사용자 그룹을 타겟으로 삼아 구조화된 포맷의 질문지를 만들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기에 좋은 방법
    ex) 서베이몽키(Surveymonkey)

    2. 퍼스트 클릭 테스트(First Click Testing)
    : 사용자들이 자신의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처음에 클릭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테스트
    서면으로 진행할 수도 있으며, 기존의 웹 사이트를 활용하여 진행을 하기도 함

    3. 아이 트래킹(Eye Tracking)
    : 사용자의 시선을 따라가는 테스트
    시선이 가장 먼저 도달하는 곳, 그리고 시선이 제품을 훑는 경로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도움

    4. 적외선 열지도(Heatmapping)
    : 사용자들이 웹 사이트를 클릭하고 경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데이터
    ex) 크레이지에그(Crazyegg)

    5. 웹사이트 애널리틱스(Web analytics)
    : 웹 사이트에서 얻은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하는 방법
    사용자들에 대한 인구 통계 자료, 페이지 방문 횟수, 사이트를 둘러보는 경로 등을 파악할 수 있음
    ex)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6. A/B 테스트(A/B testing)
    : 어느 쪽을 더 많이 사용자가 선호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버전의 웹 페이지를 비교하는 테스트
    배너나 메뉴 버튼의 위치, 색감 등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줌

     


    시제품 출력의뢰는 메이킹(MAKING)

    오늘은 사용자 조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희 시제품 제작 전문 ‘메이킹(MAKING)’은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제품 제작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해드리고 있습니다😃

    시제품 제작 문의는 아래 유선번호(1544-1915) 편하게 연락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