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개발 프로세스
(#9.기구 설계 편)
기구설계는 제품의 기능과 동작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이는 제품의 실용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건데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디자인 뿐만 아니라
기구 설계까지 이루어져야 실제 제품으로 출시가 됩니다.
오늘은 제품 개발 프로세스 중
기구 설계에 대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기구설계란?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기구설계
: 내부 기능과 동작을 설계하는 것
제품의 성능이나 안정성, 신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제품의 구조나 부품의 배치 및 움직임 등 상호방식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제품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제품디자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유는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동작성 검토,
기능성, 내구성, 조립성, 생산성, 제작원가까지
다양한 부분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전문지식이 많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기구설계는 이후 금형 및 사출로 이어지기 때문에
해당 단계에서 많은 검증이 필요합니다.
가상의 자극을 통해 구조 해석을 진행하고,
구조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변형이 오진 않는지?
금형 및 사출 진행 시 구조물에 변형이 오지 않을지
모든 경우의 수를 생각하여 검토하는 과정이 기구설계에서 필요한 작업입니다.
제품 개발시 기구설계는 왜 중요할까요?
시제품 제작은 메이킹(MAKING)
1. 기능과 성능 개선
|
제품의 움직임, 작동 메커니즘, 힘 전달 등을 최적화하여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
|
|
2. 신뢰성과 내구성
|
제품의 내구성은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유지 보수 및 수리 비용을 줄일 수 있음
|
|
3. 생산성과 효율성
|
효율적인 기계설계는 생산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게 되며 이는 생산 비용 절감, 생산량 증가의 효과로 이어짐
|
|
4. 안전성과 인간
공학 |
사용자의 편의성과 편안함을 높이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줌
|
|
5. 경쟁력과 혁신
|
새로운 기구 설계 아이디어나 기술은 다른 경쟁 제품과 구별되며 시장에서 큰 인상을 남김
|
제품 개발을 처음 진행하시는 분이라면 제품디자인과 기구설계의 차이점을 이해 못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각 다른 분야이며, 2개가 모두 잘 이루어졌을 때 좋은 결과물이 있다는 개념을 명심해주세요!
오늘은 기구설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희 시제품 제작 전문 ‘메이킹(MAKING)’은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제품 제작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해드리고 있습니다😃
시제품 출력의뢰는 메이킹(MAKING)
디자인 & 시제품제작 전문 팀
'메이킹(MAKING)'
메이킹은 (주)한국전자기술의 시제품제작 전문팀명입니다
시제품에 대한 정보와 제작사례를 소개하고 있으며
시제품 제작 문의는 아래 유선번호로 편하게 연락주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이킹] 디자이너가 보는 톤앤매너의 중요성 (0) | 2023.12.18 |
---|---|
[메이킹] 픽토그램 디자인이란? (0) | 2023.12.15 |
[메이킹] 실무자가 알려주는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1) | 2023.12.07 |
[메이킹] 디자인 전략 짜는 법 (디자인 방향, 디자인 목표설정) (0) | 2023.11.27 |
[메이킹] 진공 성형기란? (초보자 필독) (1) | 2023.11.09 |
댓글